2026 KF 지원사업
해외정책연구 지원사업 (비미 지역)
미국 지역 “해외정책연구 지원사업” 신청 바로가기:
2026 Support for Policy-Oriented Research Program (U.S. only)
비미 지역 “차세대 정책전문가 네트워크” 바로가기:
Support for Next Generation Policy Experts Network
사업목적
국제사회에서 한국과 관련된 현안 연구를 활성화하고 한국에 대한 정책적 이해와 관심 증대를 목표로 한국 관련 다양한 연구를 깊이 있게 분석하고 관련 정책을 제언하는 연구 활동 및 프로그램을 지원합니다.
신청자격
(한국 및 미국 제외) 해외정책연구소(싱크탱크), 대학 소속 연구소
*개인이 아닌 기관 명의로만 신청 가능
대상사업
1. 한국 관련 정책연구
- 한반도 관련 이슈: 외교안보(군축/비확산, 소프트파워, 한일관계, 소다자주의 등)
- 과학기술 관련 안보 정책 협력: 반도체, 배터리, 글로벌 공급망, 사이버 안보, AI, 양자기술, 우주 기술 등
- 글로벌 이슈: 경제안보(무역 및 관세), 인권, 민주주의, 기후변화 및 환경, 에너지 안보 등
2. 한국 정책 연구를 전담하는 Korea Chair/Fellow직 설치
- 코리아 체어 및 펠로 신청시 두 가지 기준 통한 판단 필요: ① 해당 직위의 지속성, ② 연구 및 활동의 범위
- 코리아 체어는 기관에서 해당 직위를 다년(3년 이상) 설치 및 운영할 계획이 있으며, 연구 및 활동 범위가 단년도 프로젝트를 넘어 장기적인 방향성을 지닌 경우에 해당
- 코리아 펠로는 기관에서 해당 직위를 단년으로 부여하고, 연구 및 활동이 단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해당
지원내용
사업 경비, 연구인력 인건비, 사례비, 여비, 출판비, 간접비* 등
* 간접 경비는 직접 경비의 10% 까지 지원 가능
* 지원사업과 관련 없는 단순 사무실 운영비 및 유형 자산 구입비 , 지원사업과 무관한 연구 인력의 인건비는 지원 불가
지원기간
최대 1년
* 다년간 진행되는 연구도 1 년 단위로 사업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며 , 연구 실적과 차년도 계획을 평가하여 그 결과에 따라 계속 지원 결정 . 단 , Korea Chair/Fellow 직 설치 사업에 한해 다년 단위 지원 검토 가능
신청일정
1. 신청기간: 2025년 7월 1일 ~ 9월 2일 (18:00 KST)
2. 결과발표: 2025년 12월 31일 이전
*신청서 작성 시 제출한 기관 이메일로 결과 통보 예정
제출서류
1. 온라인 신청서 (https://apply.kf.or.kr)
- 공고 하단 “신청하기” 버튼 클릭
2. 첨부 서류(온라인 신청 시 파일 업로드)
- 사업계획서
- 사업 예산 상세 내역(미국 달러 기준 작성
- 사업추진자 및 주요 참가자 이력서
신청방법
KF 온라인 신청시스템(https://apply.kf.or.kr)을 통해 2025년 9월 2일까지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
* 제출서류는 모두 한국어 또는 영어로 기재
심사기준
- 사업내용의 우수성
- 연구자/기관의 한국 관련 전문성
- 예산의 적정성
- 연구결과의 활용도 및 파급효과
보고서 제출
협약기간 종료 전 아래의 서류들을 모두 포함하여 제출
1. 결과보고서(사업추진자 서명 포함, 재단 양식)
2. 회계보고서(회계책임자 서명 포함, 재단 양식)
3. 사업 결과물(해당되는 경우): 단행본, 기고문, 논문, 행사 프로그램북, 비디오/팟캐스트 링크 등
유의사항
1. 지원 신청서 제출 후 변경된 사업 내용에 대하여는 재단에 해당 내용을 통보해야 합니다.
2. 재단은 심의 과정에서 필요시 사업계획에 대한 보완 또는 일부 사업내용의 조정 등을 신청기관에 요청할 수 있습니다.
문의처
1. 자주 묻는 질문: FAQ
2. 시스템 기술/오류 문의: tech-support@kf.or.kr
3. 사업 관련 문의: researchsupport@kf.or.kr